정형외과

슬관절

슬개골 연골연화증 및 추벽증후군

슬개골 연골연화증

슬개골 연골연화증이란 무엇인가요?

슬개골 연골연화증이란 무릎 앞쪽에 있는 동그란 뼈(슬개 골)의 관절쪽 부분(연골)이 약해지는 것으로 주로 무릎 관 절 앞쪽에 통증을 일으키게 되며, 주로 젊은 연령층, 특히 여자에서 많이 발생합니다.

증상은 무엇인가요?

1. 주로 무릎 관절 앞쪽 부위에 발생되는 통증이 가장 흔한 증상입니다.

2. 의자에서 앉았다 일어날 때, 계단을 오르내릴 때, 비탈 진 곳 오르내릴 때, 무릎 꿇는 자세를 취할 때, 쪼그려 앉거나 일어설 때 무릎 관절 앞쪽 부위에 ‘시큰거리는’ 혹은 ‘아리는’ 느낌의 통증이나 무릎 속에서 무언가에 ‘꽉 찌르는 느낌’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3. 무릎을 구부린 채, 장시간 앉아있을 때 통증이 발생하거나 악화될 수 있으며, 무릎을 펴고 있으면 통증이 완화될 수 있습니다.

4. 무릎관절에 힘이 안들어가는 느낌이나 활동 후에 무릎 관절 앞쪽 부위에 통증이 발생하는 증상이 있을 수 있습니다.

5. 대게 평지를 걷는 데에는 크게 지장이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추벽증후군

추벽증후군이란 무엇인가요?

1. ‘추벽’이란 정상 무릎 관절에서 슬개골과 대퇴골 사이에 위치하는 얇고 부드러우며 탄력이 있는 얇은 막형태의 조직입니다.

2. 반복적인 외상이나 지속적인 자극 등에 의하여 추벽이 탄력성이 없어지고, 두꺼워질 경우 증상을 일으키게 됩니다. ‘추벽증후군’이란 활막 추벽이 두꺼워져서 무릎 관절 앞쪽 부분에 통증을 일으키는 경우를 말합니다.

증상은 무엇인가요?

1. 계단 오르내릴 때, 앉았다 일어설 때, 쪼그리고 앉는 자세, 양반다리 하고 있을 때, 흔히 발생하는 무릎관 절 앞쪽 부위의 통증이 주 증상인 경우가 많습니다.

2. 무릎을 구부리거나 펼 때, 무릎관절 앞쪽 혹은 앞쪽 안쪽 부위에 무엇인가 걸리는 것을 느끼는 경우가 있고, 탄발음(톡톡하는 뭔가 걸리는 느낌 혹은 소리)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3. 추벽이 있다고 해서 항상 무릎 관절 통증의 원인이 되는 것은 아니고, 증상을 일으키는 경우에만 “병적 추벽”이라 하여 치료하게 됩니다.

슬개골 연골연화증 및 추벽증후군의 치료

1. 운동치료 및 약물치료로 좋아지는 경우가 많으므로 우선 수술하지 않고 비수술적 치료를 먼저 시행합니다.

2. 연골연화증 및 추벽증후군은 증상 호전하는데까지 비교적 오랜 시간이 필요하며, 깨끗이 안 낫는 경우 가 많고, 증상이 호전되다가 다시 악화되는 경우도 있고, 재발하는 경우도 있어 꾸준한 운동치료와 관리가 필요합니다.

3. 슬개-대퇴관절(무릎관절 앞쪽부위)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하는게 중요합니다. 무릎을 장시간 반복적으로 굽혔다 폈다 하는 것, 오랜 시간 무릎을 많이 구부린 자세로 있는 것, 쪼그리고 앉는 자세, 경사가 심한 산의 등산이나 계단 오르내리는 것 등을 가급적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비탈에서 하는 운동보다는 평지운동이 좋습니다.

4. 관절이 부어 있는 경우에는 소염제를 투여하여 부은 것을 가라 앉히는 치료를 시도할 때가 있습니다.

5. 운동치료가 중요하며, 허벅지 앞쪽 근육(대퇴 사두 근) 근력 강화운동을 꾸준히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6. 관절액 성분이 있는 연골주사를 무릎관절 안에 주사하 여 증상 호전에 도움이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7. 추벽증후군의 경우, 운동치료와 약물치료로도 증상이 호전되지 않는 경우에는 관절내시경으로 추벽을 제거하는 추벽절제술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추벽자체가 감입(끼어서)되어 발생하는 통증은 수술후 조기에 좋아지지만, 슬개골 연골연화증으로 인 한 관절 연골 증상은 좋아졌다가 다시 재발하는 경우가 반복될 수 있기 때문에 꾸준한 운동치료 및 관리가 필 요합니다.

8. 슬개골 연골연화증의 원인이 되는 다른 구조적인 문제 (외측지대 단축, 슬개골 주행경로 이상, 무릎관절의 정 렬이상 등)가 있는 경우에는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게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